swift
-
[Swift 문법] Operatorswift 2024. 3. 3. 22:57
Operator 연산자 1. 의미 Operator 연산자란?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2. 관련 용어 Operand 피연산자, 연산 대상/Operator 연산자 예) a + b에서 a,b는 피연산자이고 +는 연산자이다. 3. 분류 가.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른 분류 1)Unary Operator 단항 연산자: 피연산자가 하나인 경우 예) +a (공백 없음) 2)Binary operator 이항 연산자: 피연산자가 둘인 경우 예) a + b (공백 유무 상관 없음, 단, 양쪽 통일하기!) 3)Ternary Operator 삼항 연산자(조건 연산자): 피연산자가 여럿인 경우 예) a ? b : c (모든 토큰 사이 공백 일정하게 통일) 나. 연산자의 위치에 따른 분류 1)Prefix Operator 전치 연산자 ..
-
[Swift 문법] Operator Precedence, Associativityswift 2024. 3. 3. 22:55
Operator Precedence 1. 의미 연산자가 가진 고유의 우선 순위 2. 특징 가. 연산자에는 연산 우선 순위가 있다. 나. 곱하기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더하기 연산자보다 높다. 다. ( )로 계산 순서를 바꿀 수 있으며, 괄호를 중첩할 때는 가장 안쪽의 괄호가 우선순위가 높다. * 자연수 사칙 연산과 동일하다. Operator Associativity. 1. 의미 연산자 결합 규칙. 연산자마다 서로 다른 규칙을 가짐. 2. 종류 1) Left Associative 좌결합성: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진행 예) -연산자: A - b- c 2) Right Associative 우결합성
-
[Swifit] Type inference, Type Annotationswift 2024. 3. 3. 22:43
Type inference 형식 추론 : 변수나 상수에서 명확한 타입을 지정하지 않았을 때 스위프트 컴파일러가 type을 스스로 추론하는 것. - 컴파일러는 값을 보고 type을 추론하므로 타입을 생략했다면 값을 반드시 저장해 주어야 함. Type Annotation 타입 선언 : 개발자가 직접 타입을 지정하는 것. - 컴파일러가 형식을 스스로 추론함에도 Type Annotation이 필요한 이유는? 형식 추론에서 type은 대표 자료형으로 추론되기 때문. 대표 자료형 이외의 타입으로 사용하려면 직접 선언해주어야 한다.
-
[Swift] Character, Stringswift 2024. 3. 3. 22:41
Character 문자 1. 의미 데이터 타입 중 하나로 한 개의 문자를 말함. 2. 특징 가. 문자 한 개를 '문자'로 저장하고 싶다면 반드시 타입을 선언해야 한다. 나. 문자를 큰 따옴표로 감싸고 character type을 선언하면 된다. Strings 문자열 1. 의미 데이터 타입 중 하나로 기호를 나열한 것을 말함. 2. 특징 가. 0개 이상의 문자, 숫자, 기호를 큰 따옴표로 감싼 것이다. 나. 빈 문자도 문자열로 저장할 수 있다. 다. 문자 한 개를 선언하지 않으면 문자열로 추론된다. 2가지 오류 잘보기
-
[Swift] Integer types, Floating-point typesswift 2024. 3. 3. 21:40
Integer types 정수 자료형 1. 의미 정수를 저장하는 자료형 2. 특징 가. 정수와 다르게 2진수로 바꾸어서 표현하므로 오차가 없다. 나. 여러 종류가 있으나 대표 자료형인 Int type을 사용하면 된다. Floating-point types 실수 자료형 1. 의미 실수를 저장하는 자료형 2. 특징 가. 실수는 지수와 가수로 나누어 저장하므로 오차 발생 나. 정수 자료형보다 더 넓은 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. 다. double과 float 두 종류가 있다. 라. double이 최대 15자리, float 6자리까지 정확성을 보장한다.(그마저도 반올림 ㅠ_ㅠ) 마. 두 가지 중은 더블을 사용하면 된다~! *정수를 저장할 때는: int 실수를 저장할 때는: double을 사용하자!
-
[Swift] Number literalswift 2024. 3. 3. 21:32
Number literals 코드에서 숫자를 나타내는 법 1. 정수 가. 정수 리터럴: 공백없이 1~9까지의 숫자를 입력하면 된다. (현실과 동일) 나. 양수는 +문자를 생략한다. 음수는 - 생략 안됨. 다. 2.13과 같이 숫자 사이에 period 문자를 추가하면 실수. 라. 정수 부분이 0이어도 스위프트에서는 채워줘야 함. 2. 실수 가. 실수 리터럴: 보통 10진수를 사용하나 2진수, 10진수, 16진수 등 원하는 형태로 표현함. 나. 2진수는 0b를 붙이고 숫자를 쓴다. 다. 10진수는 밑이 10인 지수로 표현하는데 E 다음 지수를 쓴다. 라. 16진수는 0x를 붙이고 숫자를 쓴다. 3. 16진수 나타내는 법 가. 어떤 수를 2의 지수로 나타낸다. 나. 16진수의 숫자 체계를 적용한다. (1, 2..
-
[Swift] Data Types with Memoryswift 2024. 3. 3. 21:24
memory 1. 의미 0과 1을 저장할 수 있는 반도체 2. 특징 가. 전압 차이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한다. 나. 전기가 들어오면 1, 들어오지 않으면 0 다. 모든 데이터는 2진수로 바꾸어서 저장한다. 3. 단위 비트, 바이트, 킬로 바이트, 메가 바이트, 기가 바이트, 테라 바이트, 요타 바이트 0과 1을 저장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공간: bit 0과 1이 8개 모인 것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단위: bite *경우의 수 256가지 Binary 1. 의미 데이터를 0과 1로만 나타낸 것(2진수 체계) 2. 구조(특징) 가. 가장 왼쪽의 비트를 Most Significant Bit(MSB), 가장 오른쪽의 비트를 Least Significant Bit(LSB)라고 한다. 나. 실제 데이터를 저장..